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대해서 궁금하시죠?
2030 청년이라면 주목해야 할 상품입니다. 6월 중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청년희망적금과 같은 다른 상품들과의 중복 가입 가능여부 등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내용들을 10가지 꼼꼼하게 총정리해서 요약해 보겠습니다.
목차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년 자산형성을 위한 제도인데요 청년희망적금 보다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이 더 많고, 최대 월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상품입니다.
1. 가입조건
납입 한도는 월 최대 70만원이고 5년 의무가입기간이 있습니다. 정부 기여금과 은행 이자를 모두 합처서 만기 시 최대 5천만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

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,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.
기준 중위소득이란?
전체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 말하는데 매년 정부에서 이 중위소득을 토대로 각종 경제 지표를 반영한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발표합니다. 이를 기준 중위 소득이라 합니다. 매년 달라지는 금액이기 때문에 매년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.

2022년에서 2023년 중위소득 180% 되는 부분을 살펴보니 1인가구일 경우 약 370만 원대 2인가구일 경우 약 620만 원입니다.

2. 가입대상
2023년 기준 만 19세~34세 이하입니다.
단, 병역 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으로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됩니다.
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서 일정 비율의 정부의 기여금을 지원받고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소득금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적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
소득이 높으면 납입금액의 3% 기여금 지원
소득이 낮으면 납입금액의 6% 기여금 지원
70만 원*12개월*5년 =4200만 원 + 기여금 및 이자소득 약 800만
금리는 아직 확정이 되지는 않았지만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한다면 대략적으로 5~6%로 추정됩니다.
3.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비교
청년희망적금 | 청년도약계좌 | |
가입대상 | 만 19~34세 청년(병역이행기간 제외) | |
소득 조건 | 총 급여 3600만원 (종합소득 2600만원) 이하 청년 |
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|
납입 조건 | 2년, 최대 월50만원 납입 | 5년,쵀대 월 70만원 납입 |
저축 장려금 | 최대 1년차 2% (12만원) 2쳔차 4% (24만원) (만기 시 지급) |
3~6%(월 지급) |
4. 중복 가입 가능 여부
청년내일저축계좌,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허용
청년 내일채움공제, 고용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허용
청년도약계좌와 사업복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쳥년도약계좌에 순차가입(만기 후 가입)
*중도 해지 포함 (청년희망적금 틀별중도해지 요건 해당 시에만 저축장려금 지급 비과세 적용)
※청년희망적금 만기후에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합니다.



5. 청년 도약계좌의 장점과 단점
장점
- 청년들이 다소 수월하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
- 이자 소득 전액이 비과세
- 최소 가입 금액이 없음
- 최대 월 70만 원까지 납입가능한 자유적립
단점
- 5년이라는 긴 납입기간
6. 가입 신청기간
6월~12월까지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.
비대면으로 가입 신청 후 2~3주 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통봉보 예정입니다.
7. 중도해지
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됩니다. 비과세혜택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- 가입자의 사망. 해외이주
- 가입자의 퇴직
- 사업장의 폐업
- 천재지변
-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
- 생애최초 주택구입
다만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되고,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은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.
8. 지난해 소득 확인이 안 되는 경우
직전 과세기간 소득은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전 연도 과세기간 소득을 대신 활용하여 가입이 가능합니다.
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은 2023년 7~8월경 확정입니다.






9. 가입 이후 소득이 변동되면?
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개인소득 현행화를 통해 유지심사를 시행하며 해당 심사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여부 규모가 조정됩니다.
*가구원 변동 등 (이혼. 독립. 사망) 가입자의 개인소득과 무관한 사유로 기여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구 소득은 유지심사에서 제외
유지심사 결과 개인소득 6천만 원(총 급여기준) 초과 시 다음 유지심사 시까지 정부기여금 지금이 중단됩니다.
*다음 유지심사에서 개인소득 6 천암원(총 급여기준) 이하일 경우 그 이후 유지심사 시까지 정부기여금 재지급
※ 비과세 혜택은 가입 시 개인. 가구 소득요건을 충족한다면, 만기까지 유지됩니다.
10. 가입 이후 34세가 넘으면?
가입당시 연력요건에 해당되면 중도해지 하지 않는 한 계좌 유지가 가능합니다
영상으로 알아보기 ▼
00:00 보도자료 시작 - 청년도약계좌
00:44 가입대상 확인
01:28 소득별 기여금 지급 확인
02:00 청년도약계좌 금리
03:06 가입 심사 기준
03:26 중복가입 가능한 상품
04:10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
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더 자세한 안내는 서민금융진흥원콜센터 ☎1397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